행복한 안전도시 당진 만들기 기본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본문
제1부 | 행복한 안전도시 당진 만들기 중장기 추진전략 수립 01
Chapter 1 과업 개요 01
1. 국제안전도시 사업의 이해 01
가. 국제안전도시 개념 01
나. 국제안전도시 기본원칙과 접근 전략 03
다. 국제안전도시공인 04
2. 과업 필요성 및 목적 12
3. 과업 내용 및 방법 14
가. 과업 범위 14
나. 과업 내용 및 방법 14
Chapter 2 지역 개황 17
1. 인구학적 특성 17
2. 사회·경제·문화·환경적 특성 20
3. 시정운영 방향 22
Chapter 3 중장기 추진전략 수립 23
1.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의 연계 23
가. UN SDGs와 손상예방 안전증진 23
나. 당진 SDGs와 손상예방 안전증진 26
다. 당진시 지역안전관리지표 28
2. 중장기 정책추진 방향 설정 29
가. 당진시 안전수준 29
나. 당진시 안전관리 수준 38
다. 지역안전관리 지표 체계 38
나. 안전취약지표 파악 44
다. 중점관리영역 선정 54
라. 분과 구성 55
3. 중장기 추진전략 체계도 57
4. 중장기 목표달성을 위한 전략적 사업 모형 59
가. 지속가능 사업수행기반 조성 59
나. 당진시 안전수준의 향상 61
5. 분과별 중점추진사업 64
가. 기존사업고도화 64
나. 신규사업발굴 71
6. 지역안전관리지표 목표치 설정 73
가. 목표값 설정방법 73
나. 목표값 75
Chapter 4 지속가능한 사업추진을 위한 정책 제안 80
1. 필수제안사업 80
2. 사업 모니터링 83
3. 국제안전도시 사업 추진을 위한 당진시의 역할 88
가. 국제안전도시 사업 추진과 당진시의 역할 88
나. 국제안전도시 사업 추진 시 고려 사항 92
다. 기대 효과 96
제2부 | 행복한 안전도시 당진 만들기 중장기 추진전략 수립 과정 97
Chapter 1 당진시 안전취약성 진단 97
1. 안전수준 취약성 진단 내용 및 방법 97
가. 손상 발생 현황 분석에 활용된 자료원 98
나. 안전인식 및 행태 분석에 활용된 자료원 106
다. 손상유발 취약환경 114
2. 손상사망 118
가. 손상사망률 추이 119
나. 손상발생기전별 손상사망률 추이 127
다. 손상사망분율 추이 135
라. 손상발생기전별 손상사망자 수 비교 139
마. 주요 손상발생기전별 다빈도 손상사망 원인 143
바. 조기사망으로 인한 손실년수(Years of Life Loss’ YLL) 147
3. 손상부상 149
가. 교통사고분석시스템(통합DB, 경찰DB) 149
나. 119구급활동 158
다. 학교안전공제회 보상청구자료 174
라. 어린이집안전공제회 보상청구자료 198
마. 수산업협동조합 보상청구자료 214
4. 사고발생 215
가. 지역사회건강조사 215
나. 지역안전지수 224
5. 안전인식 및 행태 227
가. 지역사회건강조사 227
나. 충청남도 사회조사 259
다. 교통문화지수 269
라. 당진시 공무원 안전인식조사 277
마. 당진시 시민 안전인식조사 290
바. 당진시 아동·청소년 안전인식조사 311
6. 손상유발 취약환경 330
가. 교통사고 GIS 분석시스템 330
나. 생활안전지도 335
다. 경로당 환경조사 367
Chapter 2 당진시 안전관리 수준 진단 391
1. 안전관리 수준 진단 내용 및 방법 391
가. 정책·인프라 진단을 위해 활용된 자료원 391
나. 가용자원 396
다. 사업 분석 396
2. 정책·인프라 398
가. 안전관리정책 398
나. 안전인프라 405
3. 가용자원 419
4. 2019년 당진시 안전사업 426
Chapter 3 당진시 중장기 정책추진방향 설정 438
1. 지역안전관리지표 체계 개발 438
가. 분과관리지표 및 지표값 440
나. 개별사업 관리지표 및 지표값 448
다. 핵심목표지표 및 지표값 451
2. 우선순위 손상문제 및 안전취약지표 파악 454
3. 중점관리영역 선정과 분과구성 459
가. 중점관리영역 459
나. 안전도시 분과위원회 구성 및 운영 460
나. 분과구성에 활용된 자원 463
4. 분과위원 및 용역자문단 구성과 운영 467
가. 분과위원 467
나. 안전도시용역 자문단 470
5. 분과별 안전취약지표 관련 위험요인과 중재방안 파악 475
가. 교통안전분과 477
나. 낙상예방분과 478
다. 범죄폭력예방분과 479
라. 산업안전분과 481
마. 자살예방분과 482
바. 재난안전분과 484
6. 중점추진사업 선정 485
7. 중점추진사업 고도화 방안 502
8. 지역안전관리지표 목표치 설정 511
가. 목표값 설정방법 511
9. 안전도시 사업수행 역량강화 활동 523
가. 사업담당자 523
나. 분과위원 527
참고문헌 528
-
26회 연결
-
25회 연결
댓글목록0